주체107(2018)년 11월 4일 로동신문
공화국력사에 뚜렷한 자욱을 남긴 지식인들 주체문학건설에 이바지한 작가 천세봉
우리 당의 위업을 사상과 신념의 붓대로 충직하게 받들어온 이름난 문필가들가운데는 천세봉선생은 1915년 함경남도 고원군의 빈농가정에서 태여났다. 어려서부터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강렬했고 문학을 남달리 사랑해온 그였지만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해야만 했던 비참한 처지는 쓰라린 고통과 설음만을 남기였다. 희망은 있어도 날아오를 창공이 없었고 꿈은 있어도 그것을 지켜줄 품이 없었기때문이였다. 조국이 해방된 이듬해 장막희곡 《고향의 인상》을 첫 작품으로 내놓은 천세봉선생은 그후 소설창작에 전념하여 1960년대까지 단편소설 《령로》(고개길), 《땅의 서곡》, 중편소설 《싸우는 마을사람들》, 장편소설 《석개울의 새봄》, 《대하는 흐른다》를 비롯한 수많은 농촌생활주제의 소설들을 창작하였다. 사람들속에 농민작가로 알려져있던 천세봉선생이 생의 후반기에 주체적인 혁명문학건설에 이바지하는 많은 혁명소설들을 훌륭히 써낼수 있었던것은 천세봉선생의 혁명적열의와 창작적재능을 귀중히 여기신 천세봉선생은 당의 크나큰 믿음속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의원으로 사업하였고 오랜 기간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일하였으며 천세봉선생은 일생토록 새벽 2시부터 5시까지를 글쓰기에 제일 좋은 금같은 시간으로 여기군 했는데 글줄이 쏟아져나올 땐 앉은 자세가 점점 높아져 반쯤 일어서서 글을 썼다고 한다. 오랜 창작활동과정에 쌓인 육체적과로로 하여 그의 하반신은 거의나 마비되였으며 걸음을 걷다가도 갑자기 주저앉는 때가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천세봉선생은 겹쳐드는 병마로 하여 기울어지는 펜대를 초인간적인 의지로 일으켜세우면서 《나는 70이 넘는 나의 인생행로를 통해 한 나라, 한 민족의 흥망성쇠의 비결은 본사기자 김성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