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대명사를 놓고 본 판이한 모습

주체107(2018)년 11월 2일 로동신문

한시도 늦출수 없고 한순간도 소홀히
할수 없는것이 반제계급교양이다

 

우리 집, 우리 선생님, 우리 고향, 우리 작업반, 우리 조국…

아마도 이 땅에서는 모든 부름이 우리라는 두 글자와 련결되여있는것만 같다.

태여나 말을 익히고 글을 배울 때부터 우리라는 그 말은 누구에게나 생활의 한부분처럼 익숙되여있다.

우리라는 그 부름속에 기쁨도 행복도 영예도 있는 사회주의 우리 생활, 평범하면서도 벅차게 흐르는 그 생활의 갈피마다에는 얼마나 아름답고 진정넘친 모습들이 새겨지는것인가.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였다.

《수령, 당, 대중이 하나의 사상과 신념, 동지적사랑과 의리로 굳게 결합되고 온 사회가 서로 돕고 이끄는 화목한 대가정이 되여 생사운명을 같이해나가는 여기에 우리 식 사회주의의 참모습이 있습니다.》

얼마전 락랑구역 충성고급중학교 교원인 김이철동무의 가정에서는 만사람의 축복속에 뜻깊은 결혼식이 있었다.

여섯 자식의 아버지인 그에게 있어서 벌써 세번째로 되는 자식의 결혼식이였다.

《아들딸 많이 낳고 행복하게 살아라.》

그의 목소리는 뜨거움에 젖어있었다.

김이철동무의 가슴속에는 과연 어떤 사연이 간직되여있는것인가.

그가 대학을 졸업하고 중학교(당시)교단에 섰을 때는 온 나라가 허리띠를 조이던 고난의 행군시기였다.

학급을 담임한지 몇달이 지난 어느날 그는 뜻밖에 아버지를 잃은 한 학생의 집에 가게 되였다. 숨이 지는 순간까지 기대를 돌린 아버지를 그리며 눈물을 흘리는 세 자매, 그들에게는 이미 어머니가 없었다.

집으로 돌아왔지만 김이철동무는 그 애들의 모습이 그냥 눈앞에 밟혀와 잠을 이룰수가 없었다. 마침내 그는 마음속에 품고있던 생각을 부모앞에 터놓고야말았다.

애들을 맡아키우겠다는 아들의 절절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의 부모는 긴말없이 그 결심을 지지해주었다. 아들의 그 결심이 동정심이나 그 어떤 충동에서 굳어진것이 아님을 너무도 잘 알고있었던것이다.

《우리 장군님께서 얼마나 힘드신 때냐. 나라에 부담을 주지 말고 죽을 먹어도 같이 먹으면서 애들과 우리모두 한식솔로 살자꾸나.》

어머니의 가식없는 그 말은 그에게 얼마나 큰 힘을 주었던가.

사실 그의 가정도 식솔이 적지 않았고 살림도 넉넉치 못했다. 더우기 세 아이의 아버지구실을 해야 할 그는 총각이였다.

세 자매를 품어안고 1년이 흘렀다. 어려운 때일수록 자기보다 나라를 먼저 위하며 무거운 짐을 선뜻 걸머지고 소문없이 먼길을 가는 김이철동무의 인간됨에 반하여 마음씨고운 한 처녀가 그의 반려자로 되였다.(전문 보기)

 

[Korea Info]

 

Leave a Reply

《웹 우리 동포》후원 안내
カレンダー
2018年11月
« 10月   12月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  
最近の記事
バックナンバー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8
  • 2007
  • 2006
  • 2005
  • 2004
  • 2003
  • 2002
  • 2001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