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론해설] : 《전교조》합법화를 위한 투쟁
최근 남조선에서 보수패당이 남긴 적페들을 청산하기 위한 투쟁이 적극화되고있는 속에 박근혜패당에 의하여 강제로 비법화되였던 진보적인 교원단체인 《전국교직원로동조합》(《전교조》)이 합법적지위를 되찾기 위한 투쟁에 총궐기해나서고있어 사회적관심을 모으고있다.
동족대결을 반대하고 정의와 민주주의, 참다운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활동하여온 《전교조》의 비법화는 《유신》파쑈독재를 부활시키려고 발악해온 박근혜패당이 감행한 극악한 반민족적, 반민주적범죄행위였다.
《전교조》는 남조선의 초, 중, 고등학교교원들을 망라한 교원로조로서 1989년에 결성되였다.전교조는 교육의 민주화와 교육환경개선, 통일교육강화 등을 주장하면서 청소년들에게 옳바른 력사관과 통일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활동하여왔다.
이것을 눈에 든 가시처럼 여긴 괴뢰보수패당은 이 단체를 말살하기 위해 온갖 책동을 다 일삼아왔다.특히 집권전부터 《전교조》에 대해 《해충과도 같은 존재》라느니, 《〈전교조〉에 아이들을 맡길수 없다.》느니 하고 떠벌이며 독사의 이발을 드러낸 박근혜역도는 집권후 이 단체를 《종북의 심장》, 《내부의 적》으로 몰아대면서 괴뢰교육부것들을 내몰아 갖은 박해와 탄압을 가하였다.나중에는 괴뢰법원을 내세워 《전교조》를 《불법로조단체》로 판결하고 그의 합법적지위를 박탈하는 파쑈적폭거를 감행하였다.
《전교조》말살을 노린 박근혜역도의 책동은 실로 비렬하고 끈질긴것이였다.박근혜패당은 은행들이 《전교조》와의 거래를 전면차단하고 자금을 대주지 못하도록 내리먹이였는가 하면 《전교조》의 핵심인물들을 직무에서 해임시키는 등 《전교조》말살을 위해 별의별 술책을 다 꾸미였다.오죽했으면 박근혜패당의 《전교조》탄압책동이 국제적으로 여론화되고 비난거리로 되면서 국제로동기구가 여러차례에 걸쳐 괴뢰당국에 이 단체에 대한 법적지위보장을 요구하였겠는가.
《전교조》는 박근혜패당의 비렬하고 악랄한 탄압행위에 굴하지 않고 자기의 합법적지위를 되찾기 위한 투쟁을 완강하게 벌려왔다.박근혜역도가 탄핵되고 괴뢰보수정권이 몰락한것은 《전교조》합법화를 위한 투쟁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지금 《전교조》성원들은 《박근혜적페청산》구호를 전면에 내들고 합법화쟁취를 위한 철야롱성에 돌입하는 등 강경투쟁에 나서고있다.이들의 투쟁과 관련하여 남조선 각계에서는 박근혜패당의 적페를 시급히 청산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가고있는 조건에서 《전교조》의 합법화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울려나오고있다.더우기 현 집권자가 《대통령》선거당시 《전교조》의 합법화를 공약으로 내들었던것만큼 그것을 리행해야 한다는것이 남조선 각계의 주장이다.(전문 보기)
Leave a Reply
- 나라의 모든 지역을 인민의 리상향으로 꾸리는것은 조선로동당의 확고한 결심이다
- 정치용어해설 : 사상발동
- 녀자레스링 53㎏급경기에서 우리 나라의 최효경선수 우승
- 서방식민주주의가 안팎으로 배격당하는것은 필연이다
- 유럽이 대미추종으로 얻은것은 과연 무엇인가
- 《사상의 힘으로 증산의 불길을 세차게 일으키자!》
- 조국땅 서북변의 《명사십리》 -경애하는 총비서동지의 현명한 령도아래 희한하게 일떠선 압록강반의 농촌문화도시를 찾아서-
- 녀자레스링 55㎏급경기에서 우리 나라의 오경령선수 영예의 1위 쟁취
- 유럽을 핵전쟁위험속에 빠뜨린 군비경쟁
- 《김일성전집》증보판 제33권 출판
- 우리의 사회주의발전관
- 경애하는 총비서동지의 고귀한 가르치심 항상 혁신적이며 적극적인 자세에서 인민을 위하여 복무하여야 한다
- 제9차 4월의 봄 인민예술축전 선전화가 나왔다
- 우리 나라의 리세웅선수 2025년 아시아레스링선수권대회에서 영예의 금메달 쟁취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무인항공기술련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하시였다
- 당의 원칙과 규률은 하나이다
- 인민을 매혹시키는 위인의 세계 : 오성산초병들이 받아안은 영광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불후의 고전적로작《백두의 혁명정신으로 체육강국건설에서 새로운 전성기를 열어나가자》발표 10돐기념 체육부문 연구토론회 진행
- 조선중앙통신사 론평 : 전범국 일본이 또다시 화선에 진출하고있다
- 戦犯国の日本がまたもや火線に進出している 朝鮮中央通信社論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