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다 사회주의애국공로자들처럼 살며 투쟁하자! : 송흥땅이 자랑하는 다수확분조장 -함흥시 동흥산구역 송흥협동농장 농산제2작업반 3분조장 송봉순동무에 대한 이야기-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농사일을 잘하여 알곡증산으로 당을 받들고 조국에 헌신하는 사람이 당의 충직한 농업전사이고 내 나라의 참된 애국농민입니다.》
동해안의 공업도시 함흥시를 감돌아흐르는 성천강기슭에 송흥협동농장이 자리잡고있다. 지난 시기 얼마 알려지지 않았던 이 농장에 우리의 주인공이 있다.
함흥시 동흥산구역 송흥협동농장 농산제2작업반 3분조장 송봉순동무.
그는 우리 당의 농업정책을 심장으로 받들고 결사관철함으로써 동해안지대농사에서 해마다 높은 알곡소출을 내는 자랑찬 성과를 이룩하였다.
송흥땅이 자랑하는 다수확분조장, 그의 헌신적삶은 이 땅의 공민이라면, 나라의 쌀독을 책임진 농민이라면 어떤 인생관과 열정을 가지고 조국을 받들어야 하는가를 보여주고있다.
모래땅이 아니라 바위산이라고 해도
지금도 황금이삭 설레이는 벌판에서 우리와 처음 만났던 송봉순동무의 모습을 잊을수가 없다.
불어오는 바람에 가볍게 흐느적이는 누런 벼이삭들을 터갈라진 두손으로 정히 품어안으며 그는 말했었다.
《올해도 다수확은 문제없을것 같습니다.》
온 한해 벌을 가꾸느라 검실검실해진 얼굴에 물결치던 기쁨의 그 미소, 끝없는 행복감에 저으기 떨리는듯 했던 그 목소리…
중학교를 졸업한 그날부터 수십년세월을 땅을 가꾸며 살아오는 그에게 있어서 풍년든 농장벌을 바라보는것보다 더 큰 기쁨, 더 큰 행복은 없을듯싶었다.
송봉순동무는 모래땅에 이렇듯 훌륭한 농사작황을 펼쳐놓을수 있은 비결을 묻는 우리에게 흔연히 대답하였다.
《위대한 수령님들께서 동해안지대농사때문에 얼마나 마음쓰시였습니까. 우리는 그저 이 땅에 우리 수령님들의 념원을 현실로 꽃피우기 위하여 노력했을뿐입니다.》
농산제2작업반의 2분조에서 농장원으로 일하던 송봉순동무가 3분조에서 분조장사업을 시작한것은 지금으로부터 15년전이였다.
모내기전투를 하루 앞두고 당의 크나큰 신임에 의하여 분조장으로 임명된 그날 송봉순동무의 마음은 돌덩이를 안은듯 무거웠다. 분조장사업이 생소해서만이 아니였다.
사실 그때 3분조의 농사형편은 시원치 못하였다.
(내가 과연 분조농사를 추켜세울수 있을가?)(전문 보기)
송봉순동무(가운데)
Leave a Reply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신형구축함건조에 공헌한 남포조선소의 로동계급과 함선공업부문의 과학자, 기술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으시였다
- 다목적구축함 《최현》호의 함무장체계들에 대한 전투적용성시험에 착수
- 로씨야련방 대통령 울라지미르 뿌찐동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전투구분대들의 로씨야 꾸르스크지역 해방작전참가와 관련한 성명 발표
- 우리 당의 국가건설원칙
- 경애하는 총비서동지의 고귀한 가르치심 건설은 문명한 미래를 창조해나가는 백년지계의 애국사업이다
- 로씨야련방무력 총참모장, 외무성 대변인 등이 꾸르스크지역해방에 크게 기여한 우리 공화국무력 전투구분대들의 업적을 높이 찬양
- 당보학습을 이런 방법으로 하였다
- 무제한한 탐욕이 자본주의의 위기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 일본당국의 강도적행위에 경고, 파시즘에 의한 비극이 되풀이되여서는 안된다고 강조
- 제국주의자들의 반인류적망동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가 로씨야련방의 꾸르스크지역해방작전에 참전하여 영웅적위훈을 세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전투구분대들을 높이 평가
- 백두의 혁명정신으로 이어가는 승리의 진군길 올해에 들어와 수만명의 일군들과 근로자들, 인민군군인들, 청년학생들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를 답사
- 당의 결정, 지시집행에서 나서는 중요요구
- 50여년전의 토론문에서 울려오는 메아리
- 왜 전략적인 안전개념으로 확대되였는가
- 나날이 복이 늘어나고 국력이 강해지는 멋있는 시대
- 평양의 눈부신 변천속에 꽃펴나는 인민의 대경사 웅장화려하게 일떠선 화성지구 3단계 새 도시구획의 살림집들에 시민들 환희에 넘쳐 입사
- 주체의 붉은 당기가 태여나기까지
- 《조국의 사랑, 조국의 숨결이 애국의 자양분이였습니다》 -한 총련일군의 딸이 쓴 수기중에서-
- 조선중앙통신사 론평 : 야스구니진쟈로 향한 길은 《사무라이국가》의 제사길이다